많은 사람들이 키워드가 검색엔진 최적화(SEO/Search Engine Optimization]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지만 링크(Link) 사용도 SEO의 핵심 요소입니다. 구글 Search Quality Senior Strategist인 Andrey Lipattsev는 구글 Q&A 시간을 통해 콘텐츠와 링크를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꼽기도 했습니다.

SEO에 영향을 미치는 링크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내 블로그(웹페이지)를 링크해 주는 인바운드 링크(Inbound link)와 내 블로그(사이트)에서 다른 사람 페이지를 링크하는 아웃바운드 링크(Outbound link)입니다.
인터넷상에서 링크(Link)는 ‘추천’과 같습니다. 다른 사람의 사이트에 내 블로그의 링크가 많다는 것은(인바운드 링크) 내 블로그가 많은 사람들로부터 추천받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또 내 블로그에 타 사이트로의 링크가 많다는 것은(아웃바운드 링크) 내 블로그가 그만큼 권위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검색엔진은 콘텐츠의 질을 평가하는 요인으로 사람들의 평판, 곧 링크 활용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인바운드 링크(Inbound Link)
인바운드 링크는 타 사이트에서 본인 소유의 사이트 콘텐츠를 언급할 때 사용하는 링크로, 백링크(backlink), 인커밍 링크(incoming link), 인링크(inlink) 등으로 불립니다.
내 블로그의 콘텐츠가 타 사이트에 링크가 많이 걸려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추천받고 있다는 것이고, 이는 좋은 콘텐츠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검색엔진은 이런 외부 링크가 많이 걸린 웹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도록 가중치 주는데요.
<인용되는 페이지 가중치 요소>
구글의 경우,
– 인바운드 링크의 인기(유입량)뿐만 아니라
– 권위 있는 웹사이트로부터 인바운드 링크를 받을 경우
(예를 들어, ‘.edu’ 혹은 ‘.gov’와 같이, 교육기관 혹은 정부기관 등을 의미하는 도메인으로부터의 링크 받을 경우 좀 더 높게 평가),
– 콘텐츠와 관련성 있는 사이트로부터 인바운드 링크를 받을 경우
(예를 들어, 마케팅에 대한 게시물을 올리는 경우, 마케팅과 비슷한 주제의 콘텐츠를 발행하는 사이트로부터 인바운드 링크를 받을 경우 높게 평가)
등,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아웃바운드 링크(Outbound Link)
아웃바운드 링크는 내 사이트에서 외부 페이지로 링크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가령 어떤 용어를 설명할 때 위키피디아나 포털 백과사전을 참고 자료로 링크했다면 이것이 바로 아웃바운드 링크인데요.
아웃바운드 링크 또한 참조하는 페이지 링크의 권위가 높을수록, 콘텐츠와 연결되는 링크와 관련성이 높을수록(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단어를 설명하면서 음악 사이트로 링크할 경우 품질이 낮다고 평가) 검색 결과 순위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 앵커텍스트
일반적으로 아웃바운드 링크는 주변 텍스트와 다른 색 혹은 텍스트 밑에 언더라인이 있어, 클릭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앵커텍스트 형식으로 노출되는데요.
– 데이블 처럼 키워드와 오버랩 되게 노출할 수도 있고,
– http://dable.io/ko/처럼 url을 있는 그대로 보여줄 수도 있으며,
– 앵커텍스트란 무엇인가 처럼 연결되는 페이지의 타이틀을 쓸 수도 있습니다.
앵커텍스트는, 앵커텍스트 자체가 SEO 키워드로서 역할을 하고 검색 엔진이 링크에 사용된 문자열과 링크된 페이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적합도를 계산하기 때문에 ‘여기’, ‘클릭’과 같은 텍스트보다, 사용자가 앵커텍스트를 통해 연결되는 링크의 정보를 쉽게 예상할 수 있는 텍스트로 만드는 것을 권합니다.
이 외 최근에는 페이스북, 링크드인, 트위터 등 해당 콘텐츠를 SNS와 공유할 수 있는 소셜 쉐어링 링크 또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링크로 꼽힙니다.
※ 인터널 링크(Internal link)
인터널 링크도 있습니다. 인바운드 링크와 아웃바운드 링크가 ‘외부 사이트’와의 링크 이동이라면, 인터널 링크는 내 블로그 내에 다른 콘텐츠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링크입니다.
우리가 인터넷 주소창에 적는 WWW는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전 세계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거미줄처럼 연결해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서비스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바운드 링크이든, 아웃바운드 링크이든 하이퍼텍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성 있는 콘텐츠와의 연결입니다. 이는 외부 링크뿐만 아니라 내 블로그 내 또 다른 콘텐츠와의 링크 연결도 마찬가지인데요.
링크 연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관련성 있는 콘텐츠로 연결하느냐이고, 내 블로그 내에서 콘텐츠와 관련성 있는 또 다른 페이지로 링크가 연결되어있다는 것은 인바운드 링크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인터널 링크를 잘 활용하는 사례로 위키피디아를 꼽을 수 있습니다.
